전환권이 부채인 전환사채 이연법인세 회계처리 (문진수 회계사)
● 전환사채 이연법인세 회계처리 (내재파생이 부채인 경우)
전환사채의 발행, 이자비용 및 내재파생상품(전환권, 상환권으로 부채)의 평가손익, 전환으로 인한 자본대체 거래의 회계처리와 이에 대한 이연법인세 회계처리를 설명하고자 한다.
아래는 전환사채 발행개요이다.
구분
|
내용
|
발행일자
|
2025년 1월 1일
|
액면금액
|
10,000,000원
|
발행가액
|
10,000,000원(액면발행)
|
표면이자율
|
연 3% (매년말 지급)
|
만기일
|
2027년 12월 31일 (3년 만기)
|
시장이자율
|
5%
|
전환권 (부채) 공정가치
|
발행시점: 1,200,000원
|
투자자상환권 공정가치
|
발행시점: 800,000원
|
세율
|
20%
|
세무상 장부가액
|
발행시 총금액 (10,000,000원)
|
차변
|
금액(원)
|
대변
|
금액(원)
|
비고
|
현금
|
10,000,000
|
전환사채
(주계약)
|
8,000,000
|
총액(액면발행)에서 내재파생상품 공정가치 제외
|
|
파생금융부채
(전환권)
|
1,200,000
|
공정가치 최초인식
|
|
|
파생금융부채
(투자자상환권)
|
800,000
|
공정가치 최초인식
|
[1단계] 발행 시점 회계처리 (2025년 1월 1일)
① 주계약 및 파생상품 최초 인식
차변
|
금액(원)
|
대변
|
금액(원)
|
비고
|
현금
|
10,000,000
|
전환사채
(주계약)
|
8,000,000
|
총액(액면발행)에서 내재파생상품 공정가치 제외
|
|
파생금융부채
(전환권)
|
1,200,000
|
공정가치 최초인식
|
|
|
파생금융부채
(투자자상환권)
|
800,000
|
공정가치 최초인식
|
※ 회계상 최초 인식금액: 총 10,000,000원
② 발행시점 이연법인세 처리
항목
|
회계상 장부금액 (원)
|
세무상 장부금액 (원)
|
일시적 차이 (원)
|
이연법인세처리
|
부채
(주계약+내재파생상품)
|
10,000,000
|
10,000,000
|
0
|
없음
|
발행시점에는 회계상과 세무상의 부채금액이 동일하므로 이연법인세는 없다.
[2단계] 후속 측정 시 회계처리 (1년 경과 후, 2025년 12월 31일)
① 주계약 유효이자율법 적용 (상각후원가)
• 최초인식금액 : 8,000,000원
• 유효이자율 : 5%
• 표면이자 지급(현금) : 10,000,000원 × 3% = 300,000원
차변
|
대변
|
비고
|
||
이자비용
|
400,000
|
현금
|
300,000
|
표면이자 지급
|
|
금융부채(주계약)
|
100,000
|
유효이자율 상각 증가
|
(※ 주계약 장부금액: 8,000,000 → 8,100,000원)
② 내재파생상품 공정가치 평가손익 인식
구분
|
차변 계정 (원)
|
대변 계정 (원)
|
비고
|
전환권 (공정가치↑)
|
파생상품평가손실
300,000
|
파생금융부채(전환권)
300,000
|
손실
(1,200,000 → 1,500,000원)
|
투자자상환권 (공정가치↓)
|
파생금융부채 (투자자상환권)
200,000
|
파생상품평가이익
200,000
|
공정가치 하락
|
③ 후속측정 이연법인세 처리 (1년 후)
회계상 장부금액이 세무상 장부금액보다 200,000원 증가 → 미래차감할 일시적차이
구분
|
회계상 장부금액 (원)
|
세무상 장부금액 (원)
|
일시적 차이 (원)
|
이연법인세 처리 (20%)
|
부채 합계
|
10,200,000
|
10,000,000
|
200,000
|
이연법인세자산
40,000원
|
[이연법인세 분개]
차변 계정
|
금액 (원)
|
대변 계정
|
금액 (원)
|
이연법인세자산
|
40,000
|
법인세수익 (이연법인세이익)
|
40,000
|
설명의 편의를 1년차말에 투자자가 전환권을 행사하여 사채가 전액 자본으로 대체됨을 가정한다.
[3단계] 전환권 행사 시점 회계처리 (2025년 12월 31일)
전환권 행사로 부채(주계약 및 모든 내재파생상품)가 제거되고, 자본으로 전환됨.
① 부채 제거 및 자본 전환
차변
|
대변
|
비고
|
||
금융부채 (주계약)
|
8,100,000
|
자본금
|
10,000,000
|
액면금액 기준
|
파생금융부채 (전환권)
|
1,500,000
|
주식발행초과금
|
200,000
|
차액: 부채 - 자본금
|
파생금융부채 (투자자상환권)
|
600,000
|
|
|
[대체내역 설명]
• 제거된 부채 총액 10,200,000원(8,100,000+1,500,000+600,000)
• 자본금(액면) 10,000,000원, 나머지 200,000원은 주식발행초과금 처리
② 전환 시점 이연법인세 처리
• 부채 전체 제거로 일시적 차이(200,000원)는 해소됨.
• 기존에 인식된 이연법인세자산(40,000원)도 제거되어야 함.
항목
|
회계상 장부금액 (원)
|
세무상 장부금액 (원)
|
일시적 차이 (원)
|
이연법인세 처리
|
전환 전 부채총액
|
10,200,000
|
10,000,000
|
200,000
|
이연법인세자산
40,000원
|
전환 후 부채총액
|
0
|
0
|
0원 (차이해소)
|
이연법인세자산 제거
|
[이연법인세자산 제거 분개]
차변
|
대변
|
||
법인세비용 (이연법인세비용)
|
40,000
|
이연법인세자산
|
40,000
|
■ 최종 결론
• 발행시점: 이연법인세 없음
• 후속: 부채가 회계상 증가하여 이연법인세자산 발생
• 전환시점에 부채 소멸로 일시적차이 해소 → 이연법인세자산 제거
● View & Opinion
전환사채의 이연법인세 회계처리를 언뜻 어려워 보이지만 세무기준액이 발행가액인 점만 기억하면 간단하다. 세무기준액이 발행가액이므로 이후 부채(주계약+내재파생)의 변동액은 이연법인세자산, 부채를 발생시키며 자본으로 전환되면 잔여 이연법인세자산, 부채를 제거해 준다. 이 때, 이연법인세 자산, 부채의 상대계정은 법인세비용(수익)이다.
시점
|
구분
|
회계처리 주요내용
|
이연법인세 처리
|
발행시점
|
주계약 및 내재파생상품
|
주계약: 8,000,000원
내재파생: 2,000,000원
|
일시적차이 없음 (이연법인세 없음)
|
후속
(1년)
|
주계약 유효이자율법
|
이자비용: 400,000원, 상각후원가 증가 (100,000원)
|
|
내재파생상품 평가
|
평가손실 300,000원 (전환권)
평가이익 200,000원 (투자자상환권)
|
|
|
이연법인세
|
미래차감할차이 200,000원 발생
|
이연법인세자산 40,000원 설정 (이연법인세수익)
|
|
전환시점
(1년말)
|
자본전환 (부채제거)
|
주계약 및 내재파생상품 모두 제거, 자본 인식 (자본금 10,000,000원 및 주발초 200,000원)
|
이연법인세자산 40,000원 제거 (부채소멸로 일시적차이 해소)
|

Copyrightⓒ 삼일피더블유씨솔루션(주) All rights reserved.
삼일아이닷컴 준회원(무료)으로 가입시 15일간 정회원 무료 체험 가능하며,
더 다양한 콘텐츠를 확인해보실 수 있습니다.
삼일아이닷컴 정회원 무료 체험 신청하세요!
삼일아이닷컴 정회원 무료 체험 신청하세요 삼일아이닷컴의 차별화된 컴텐츠와 서비스를 통하여 조세, 회계, 재경, 법률분야 서비스의 경쟁력을 한단계 업그레이드 하실 수 있습니다. 지금
samilicom.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