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결산을 앞두고 회사 및 감사인이 재무제표 작성ㆍ공시 및 기말감사 시 특히 유의해야 할 사항을 안내하여드립니다. (출처:금융감독원)
회사는 자기책임 하에 재무제표 직접 작성 및 제출
◈ 회사는 재무제표를 반드시 자기책임 하에 직접 작성해야 하고, 작성한 감사前 재무제표를 법정기한 내에 제출해야 합니다. |
□ 회사는 직접 작성한 감사前 재무제표를 법정기한 내에 외부감사인에게 제출한 후 즉시 증선위*에도 제출해야 함
* 거래소(상장법인) 및 금감원(비상장법인)의 공시시스템을 통해 제출
• (제출대상) 주권상장법인과 자산 1천억원 이상 비상장법인은 물론 금융회사*(상장 여부 및 자산규모 불문)도 제출대상임
* 「금융산업의 구조개선에 관한 법률」 제2조제1항에 따른 금융기관 및「농업협동조합법」에 따른 농협은행
• (미제출 시 공시) 상장법인은 감사前 재무제표를 증선위ㆍ감사인에 기한 내 미제출 시* 그 사유 등을 제출ㆍ공시해야 함
* (상장법인)제출기한 만료일의 다음날까지 금감원 전자공시시스템에 제출
<외감법 적용회사의 감사 前 재무제표 제출의무 개요>
구분 | 세부 내용 |
제출대상
|
□ 주권상장법인, 직전 회계연도말 자산 1천억원 이상 비상장법인 및 금융회사
|
제출서류
|
□ ①재무상태표, ②(포괄)손익계산서, ③자본변동표, ④현금흐름표, ⑤주석
※ 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하는 경우 연결기준 ①∼⑤를 동일하게 제출
|
제출처
|
□ 상장법인: 거래소 상장공시제출시스템(KIND)
비상장법인: 금감원 전자공시접수시스템(DART) |
제출시점
|
□ 외부감사인에게 재무제표(연결포함)를 제출할 때
* 단, 사업보고서 제출기한 이후 정기주총을 개최하는 경우에는 정기주총일이 아니라 사업보고서 제출기한으로부터 6주전(별도) 또는 4주전(연결)
|
<주권상장법인의 감사前 재무제표 기한 내 미제출 사유 공시 제도 개요>
제출대상 |
□ 주권상장법인
|
제 출 처 |
□ 금감원 전자공시시스템(DART)
|
공시내용 |
□ 기한 내 미제출 사유
|
공시시점 |
□ 감사前 재무제표 제출기한 만료일*의 다음날까지
* “외감법 적용회사의 감사 前 재무제표 제출의무 제도 개요“의 제출시점 항목 참조
|
□ (점검 결과)감사前 재무제표 제출의무 법제화(’13.12.30.) 이후 위반회사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에 있으나, 비상장법인의 경우 코로나19 등의 영향으로 ’19년 크게 증가
* (상장법인) 167사(’15년)→49사(’16년)→39사(’17년)→49사(’18년)→24e사 (비상장법인) 계도 (’15년)→284사(’16년)→107사(’17년)→75사(’18년)→182e사
• 여전히 일부는 관련 법규 미숙지, 부주의 등으로 감사前 재무제표를 미제출ㆍ지연제출하여 감사인 지정 등의 조치를 부과받고 있으며,
-상장법인의 감사前 재무제표의 기한 내 미제출 사유 제출의무 위반도 지속적으로 발생*
* ’18년 49사 중 46사 미제출, ’19년 23사 중 23사 미제출
<감사 前 재무제표 제출의무 위반 및 조치 현황>

유의사항
|
|
⇒ (회사) 회계전문인력 충원 등 자체 결산 능력을 높여 경영진 책임 하에 재무제표를 직접 작성*하고 법정기한 내 제출할 필요
* 감사인에게 재무제표 대리 작성을 요구하거나 회계처리방법에 대해 자문하는 행위 금지
• 상장법인의 경우, 감사前 재무제표를 법정기한 내 미제출 시 그 사유를 증선위에 제출하여야 함
⇒ (감사인) 관련 회계감사 실무지침에 따라 회사의 감사前 재무제표 확인, 재무제표 최종 확정 절차 검토 등에 더욱 주의할 필요
|
[참고] 주요 위반 예시
|
||
√ (기한 계산 착오)A사는 20XX년 3월 30일(화)이 정기주주총회일로, 법정기한(6주 전)인 20XX년 2월 15일(월)까지 별도재무제표를 제출하여하나, 기한 계산 착오*로 20XX년 2월 16일(화요일)에 제출
* 초일 불산입 원칙(민법 제157조)에 따라 초일(정기주총일)은 불산입하고 역으로 6주 전(별도), 4주 전(연결)을 계산
√ (정기주총 시기 변경)B사는 20XX년 3월 26(금)에 정기주주총회 개최를 예정하여 계산된 제출기한 2월 11일에 별도재무제표를 제출하였으나, 1일 앞당겨 3월 25(목)에 정기주주총회를 개최함에 따라, 법정기한(6주 전)을 1일 초과
√ (법규 인식 미비)금융회사인 C사는 신외감법에 따라 자산규모ㆍ상장여부와 무관하게 제출대상이 되었으나, 동 내용을 숙지하지 못하여 자산 1,000억원 미만 비상장법인이므로 제출의무가 없다고 생각하여 미제출
√ (파일 업로드 미완료)D사는 재무제표 제출 관련 일부 정보를 입력하였으나, 재무제표 파일 업로드를 완료하지 않은 채 접수처 홈페이지에서 이탈하여 재무제표가 미제출
|
<금감원 담당자>
구분
|
담당팀
|
담당자
|
연락처
|
상장법인*
|
회계심사국 회계심사총괄팀
|
김동준 검사역
|
3145-7715
|
비상장법인
|
회계조사국 회계조사기획팀
|
강민정 검사역
|
3145-7322
|
* 상장법인의 감사 前 재무제표 제출과 관련된 사항은 “거래소”에 문의
내부회계관리제도 감사 준비 철저
◈ ’20회계연도말 기준 자산 5천억원 이상 상장회사는 ’21회계연도 내부회계관리제도 외부감사 대상이므로 이에 철저히 대비해야 합니다. |
□ 상장회사는 ’19회계연도부터 자산규모에 따라 순차적*으로 내부회계관리제도 ‘감사’를 받아야 하며, ’21회계연도는 자산 5천억원 이상 상장회사가 적용 대상임
* 내부회계관리제도 감사의무화 시점 : ’19년(직전 사업연도말 자산 2조원 이상) → ’20년(5천억원 이상) → ’22년(1천억원 이상) → ’23년(전체)
① (내부회계관리제도 개요)내부회계관리제도는 신뢰성 있는 회계정보의 작성과 공시를 위해 회사가 갖추고 지켜야 할 재무보고에 대한 내부통제를 의미
<내부회계관리제도 개요>
비고 | 설명 | ||
대상
|
상장회사 + 직전 사업연도 자산이 1천억원 이상인 비상장 주식회사
|
||
운영
|
대표이사가 관리ㆍ운영을 책임지고,
내부회계관리자(상근임원)를 지정하여 운영 |
||
검증
|
내부
|
대표자
|
자체 운영실태 점검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보고서) |
감사
(감사위원회) |
자체 운영실태 점검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보고서) |
||
외부
|
외부감사인
|
감사(상장사) 또는 검토(비상장사) 등을 통해
내부회계관리제도 효과성 검증 (내부회계관리제도 감사(검토)보고서) |
② (감사의 의미)감사는 내부회계관리제도 설계ㆍ운영이 효과적인지에 대해 ‘합리적 확신’을 제공하며, 기존의 검토보다 강화된 절차 요구
-(검토)감사인은 회사 내부통제에 대한 검증절차를 담당자 질문 위주로 수행하며, 검증대상도 회사가 자체점검한 ‘운영실태보고서’로 한정
- (감사)감사인은 질문은 물론 문서검사, 재수행, 관찰 등 보다 엄격한 검증절차도 수행하며, 그 대상을 ‘운영실태보고서’ 외에 회사의 내부회계관리제도 자체로까지 확대
③ (해외사례)’04년부터 내부회계관리제도 감사제도를 시행하고 있는 미국 상장회사의 경우 ’20년 비적정의견 비율은 4.6% 수준
유의사항
|
|
⇒ (회사) 모범규준 등에 따라 내부회계관리제도를 구축ㆍ운영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보완하는 등 외부감사에 철저히 대비할 필요
• 감사(위원회)는 독립적으로 내부회계 평가를 수행하고, 외부감사인과 충분히 커뮤니케이션한 뒤 평가의견을 형성할 필요
⇒ (감사인) 모범규준, 감사기준, 감사 FAQ 등에 따라 외부감사를 실시하고, 그 과정과 결과를 충실히 조서화할 필요
|
<금감원 담당자>
담당팀
|
담당자
|
연락처
|
회계관리국 금융회계팀
|
신민철 선임조사역
|
3145-7972
|
중점심사 회계이슈 확인 및 신중한 회계처리
◈ 회사는 금감원이 사전예고(’21.6월)한 ’22년 중점심사 회계이슈를 확인하고 관련 회계처리를 할 때 충분한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습니다. |
□ 금감원은 ’21.6월 심사ㆍ감리사례 및 전문가 설문 등을 감안하여 ’22년도 중점심사(테마심사) 대상 4가지 회계이슈*를 선정ㆍ예고
* ①종속ㆍ관계기업 투자주식 손상처리, ②특수관계자에 대한 수익인식, ③금융부채 인식 및 측정, ④영업이익 표시 및 영업부문 정보 공시
• ’21회계연도 재무제표가 공시된 후 회계이슈별로 대상회사를 선정하여 재무제표 심사를 실시할 예정
유의사항
|
|
⇒ (공통)회계이슈별 유의사항을 참고하여 충분한 주의를 기울이고, 필요시 핵심감사사항으로 선정하여 감사절차를 강화할 필요
• 회계이슈별로 중점심사 대상 업종도 제시하므로 해당 업종 회사 및 감사인은 보다 신중하게 결산 및 감사업무를 수행할 필요
|
<금감원 담당자>
담당팀
|
담당자
|
연락처
|
회계심사국 테마심사팀
|
범진수 수석검사역
|
3145-7713
|
☞ 자세한 내용은 삼일아이닷컴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삼일: Issue & Focus
2021년 결산을 앞두고 회사 및 감사인이 재무제표 작성ㆍ공시 및 기말감사 시 특히 유의해야 할 사항을 안내하여드립니다. (출처:금융감독원) 회사는 자기책임 하에 재무제표 직접 작성 및 제출
www.samili.com
☞ 뉴스레터 신청하기
삼일: 세무 자료실
매주 메일링 서비스 및 카카오톡 채널로 찾아가는 뉴스레터 뉴스레터는 한 주 동안의 주요 업데이트 자료를 제공합니다. 이메일을 입력하시고 매주 월요일 뉴스레터를 이메일로 받아보세요! 고
www.samili.com
☞ 삼일아이닷컴 유튜브 동영상 1타강사 모집 안내 바로가기
삼일: 고객지원센터
제 목 삼일아이닷컴 유튜브 동영상 1타강사 모집 안내
www.samili.com

사업자 정보 표시
삼일인포마인(주) | 이희태 | 서울시 용산구 한강대로 273 용산빌딩 4층 | 사업자 등록번호 : 106-81-19636 | TEL : 02-3489-3100 | Mail : syj1015@samili.com | 통신판매신고번호 : 용산 제 03791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
'이슈앤포커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추천예규판례] 누락한 세액공제액의 이월공제 가능시점 (0) | 2022.01.13 |
---|---|
2021년 세법개정 후속 시행령 개정안이 발표되었습니다 (0) | 2022.01.12 |
[회계(K-IFRS) 상담사례] 재고자산의 소유시점 (0) | 2022.01.05 |
[2021년 연말정산] 2021년 귀속 연말정산 개정세법 요약 (0) | 2022.01.04 |
[이달의 국내조세동향] Korean Tax Update 2021. 12. (0) | 2021.12.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