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년 귀속 종합부동산세 납세인원은 49.5만 명이며, 결정세액은 4.2조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2022년과 비교하면 납세인원은 128.3만 명에서 78.8만 명이 줄어 61.4%가 감소했고, 결정세액은 6.7조 원에서 2.5조 원이 줄어 37.6%가 감소했습니다
(출처: 국세청)

□ ’23년 종합부동산세 납세인원 및 결정세액이 감소한 이유는 공시가격 하락, 주택분 기본공제금액 상향1), 주택분 세율 인하2) 등으로 분석됩니다.
1) (일반) 6억 원 → 9억 원, (1세대 1주택자) 11억 원 → 12억 원
2) (일반) 0.6%~3% → 0.5%~2.7%, (3주택 이상) 1.2%~6% → 0.5%~5%
□ 주택분 종합부동산세 납세인원은 ’22년 119.5만 명보다 65.8%가 감소한 40.8만 명이고, 결정세액은 ’22년 3.3조 원보다 71.2%가 감소한 0.9조 원으로 전년도와 비교하여 큰 폭으로 감소하였습니다.
○ 이 중 1세대 1주택자 납세인원 및 결정세액은 11.1만 명, 913억 원으로 ’22년 대비 납세인원은 52.7%, 결정세액은 64.4% 각각 감소하였습니다.
□ 종합합산토지 및 별도합산토지는 ’22년 대비 변동 폭이 크지 않습니다.
귀속연도
|
종합합산토지
|
별도합산토지
|
||
납세인원(명)
|
결정세액(조 원)
|
납세인원(명)
|
결정세액(조 원)
|
|
2022년
|
104,491
|
2.0
|
14,764
|
1.4
|
2023년
|
95,759
|
1.9
|
13,698
|
1.4
|
□ 개인 종합부동산세 납세인원은 ’22년 120.6만 명보다 65.4%가 감소한 41.7만 명이며, 결정세액은 ’22년 3.2조 원보다 69.1%가 감소한 1.0조 원으로 전년도와 비교하여 큰 폭으로 감소하였습니다.
○ 법인 종합부동산세 납세인원 및 결정세액은 각각 7.8만 명, 3.2조 원으로 ’22년 대비 각각 0.1만 명 증가, 0.3조 원 감소하여 큰 변동이 없습니다.
□ 지역별 종합부동산세 납세인원 감소율을 살펴보면 세종특별자치시가 77.8%로 가장 높았으며, 인천광역시 72.0%, 대전광역시 70.7%, 경기도 68.6% 순입니다.

○ 지역별 종합부동산세 결정세액 감소율은 세종특별자치시가 59.9%로 가장 높았으며, 대구광역시 47.7%, 경기도 45.4%, 부산광역시 39.4% 순입니다.

○ 서울시로 한정할 경우, 종합부동산세 결정세액 감소율은 노원구가 80.5%로 가장 높았으며, 도봉구 78.0%, 중랑구 73.0%, 양천구 72.6% 순입니다.
□ 전체 종합부동산세 대상자 중 상위 10%가 부담하는 종합부동산세 결정세액은 3.7조 원으로서, 전체 결정세액의 88.5%로 나타났습니다.
[붙 임] ’23년 종합부동산세 통계 주요 내용
’23년 귀속 종합부동산세 납세인원 및 결정세액 현황

’23년 귀속 종합부동산세 지역별 결정 현황

’23년 귀속 주택분 종합부동산세 결정 현황


오늘은 2023년 종합부동산세 통계 주요 내용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해당 내용이 도움이 되셨나요?
더 다양한 콘텐츠는 삼일아이닷컴 홈페이지에서 확인해보세요.
삼일아이닷컴 준회원(무료)으로 가입시 15일간 정회원 무료 체험 가능합니다.

삼일아이닷컴 정회원 무료 체험 신청하세요!
삼일아이닷컴 정회원 무료 체험 신청하세요 삼일아이닷컴의 차별화된 컴텐츠와 서비스를 통하여 조세, 회계, 재경, 법률분야 서비스의 경쟁력을 한단계 업그레이드 하실 수 있습니다. 지금
samilicom.tistory.com
'이슈앤포커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차토지를 주차장으로 사용하기 위해 지출한 포장공사비의 세무처리 방법은? (1) | 2024.06.14 |
---|---|
법원 판결에 따른 공급시기 및 매입자발행 세금계산서 가능 여부 (0) | 2024.06.13 |
부동산담보신탁에 따라 수탁자가 신탁재산을 매각하는 경우 부가가치세 면제 대상인지 여부 (0) | 2024.06.07 |
노사협의회 활동비 손금산입 - 노무활동비 복리후생비로 손금산입 되나요? (0) | 2024.06.06 |
주택임대소득 신고안내 (1) | 2024.06.04 |
댓글